성격장애 2

공감 능력 부족은 병일까?

감정에 무딘 사람들, 뇌 구조의 문제일까? 후천적 훈련의 문제일까?“말해도 반응이 없고 무표정해요.”“저 사람이 내 감정을 못 느끼는 것 같아요.”“상처를 받았다고 말했는데, 왜 그게 문제냐고 하더군요.”이런 상황을 겪으며 많은 이들이 묻는다.“혹시 공감 능력이 부족한 건 병적인 건가요?”공감은 인간관계의 기본이자 사회적 상호작용의 핵심이다. 하지만 누군가는 이를 선천적으로 잘하지 못하거나, 학습된 방식으로 회피하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공감 능력의 심리학적·신경과학적 기초, 공감 부족의 다양한 원인, 병리적 양상, 그리고 훈련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살펴본다.1. 공감이란 정확히 무엇인가?공감(empathy)은 타인의 감정, 생각, 상황을 자기 내면으로 느끼고 이해하려는 능력이다.심리학에서는 크게 두 가지..

자기애와 자기혐오 건강한 자기 사랑의 균형

자기애와 자기혐오: 건강한 자기 사랑의 균형을 위한 심리학적 접근자기 자신을 사랑한다는 것은 자칫 나르시시즘으로 비춰지기도 하고, 반대로 자기 비판은 성찰로 오해되기도 한다. 하지만 심리학적으로 볼 때 ‘자기애(self-love)’와 ‘자기혐오(self-hate)’는 전혀 다른 축에 위치한 개념이며, 그 사이의 균형은 정신건강을 유지하는 핵심 요소다. 본 글에서는 이 두 개념의 정의와 차이, 심리학적 배경, 병리적 상태, 그리고 균형을 이루기 위한 실질적 전략을 소개한다.1. 자기애와 자기혐오의 심리학적 정의1) 자기애(Self-love)심리학에서 말하는 자기애는 단순히 자신을 좋아하는 감정보다 깊은 개념이다. 이는 자기수용(self-acceptance), 자기존중(self-respect), 자기돌봄(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