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관계 4

공감 능력 부족은 병일까?

감정에 무딘 사람들, 뇌 구조의 문제일까? 후천적 훈련의 문제일까?“말해도 반응이 없고 무표정해요.”“저 사람이 내 감정을 못 느끼는 것 같아요.”“상처를 받았다고 말했는데, 왜 그게 문제냐고 하더군요.”이런 상황을 겪으며 많은 이들이 묻는다.“혹시 공감 능력이 부족한 건 병적인 건가요?”공감은 인간관계의 기본이자 사회적 상호작용의 핵심이다. 하지만 누군가는 이를 선천적으로 잘하지 못하거나, 학습된 방식으로 회피하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공감 능력의 심리학적·신경과학적 기초, 공감 부족의 다양한 원인, 병리적 양상, 그리고 훈련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살펴본다.1. 공감이란 정확히 무엇인가?공감(empathy)은 타인의 감정, 생각, 상황을 자기 내면으로 느끼고 이해하려는 능력이다.심리학에서는 크게 두 가지..

직장에서 사람들과 잘 지내기 위한 심리 전략

직장에서 사람들과 잘 지내기 위한 심리 전략: 일 잘하는 사람보다, 사람을 잘 다루는 사람이 되는 법“업무는 자신 있는데, 사람 때문에 힘들어요.”“딱히 갈등은 없는데 어딘가 어색해요.”“내가 너무 유하게 굴어서 무시당하는 건 아닐까요?”직장은 업무를 수행하는 공간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수많은 사람들과의 관계를 조율해야 하는 심리적 전장이다. 관계가 무너지면 성과도 무너지고, 반대로 관계가 탄탄하면 성과도 자연히 따라온다. 본 글에서는 직장 내 인간관계의 심리적 메커니즘, 문제가 되는 상호작용 유형, 그리고 효율적인 관계 구축을 위한 실전 심리 전략을 제시한다.1. 직장 내 관계가 왜 이렇게 어려울까?직장에서의 관계는 친구 관계나 가족 관계와 다르게 역할과 이해관계, 권력, 성과 평가 등이 얽혀 있다. ..

인간관계에서의 경계(Boundary) 설정법

인간관계에서의 경계 설정법: 친밀하면서도 상처받지 않는 거리두기의 심리학“부탁을 거절하지 못하고 늘 지쳐요.”“가족이라서 뭐든 참아야 한다고 생각했어요.”“도와주다 보니 어느새 내가 책임져야 할 일들이 되었어요.”이런 경험은 모두 ‘경계(boundary)’가 모호할 때 나타나는 문제다. 경계는 인간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자기 자신을 지키는 심리적 방어선이다. 이 글에서는 경계의 심리학적 개념, 유형, 경계가 무너지면 생기는 문제, 그리고 효과적인 경계 설정법을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다룬다.1. 경계란 무엇인가?심리학에서의 경계(boundary)는 단순한 선긋기가 아니다. 그것은 “나는 어디까지가 나이고, 어디부터가 남인가”를 정의하는 정신적, 정서적 구획이다.▶ 즉, 경계는나의 감정, 생각, 시간, 신체, ..

MBTI 성격유형과 인간관계의 심리학

MBTI 성격유형과 인간관계의 심리학: 이해, 오해, 그리고 실질적 활용현대인에게 MBTI는 일종의 ‘심리적 자화상’처럼 인식되고 있다. 성격 유형 네 글자만으로 누군가의 성향과 궁합, 직업적 적합성까지 이야기하는 시대다. 그러나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는 단순한 놀이를 넘어, 인간관계의 이해를 돕는 심리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MBTI의 심리학적 구조, 인간관계에서 나타나는 유형별 경향, 그리고 그 한계와 실제적 적용법까지 살펴본다.1. MBTI의 심리학적 기초와 구조MBTI는 Carl Gustav Jung의 심리유형 이론(psychological types)을 기반으로 Isabel Briggs Myers와 Katharine Cook Briggs가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