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CD 파이프라인 구축 단계별 가이드
지속적인 통합과 배포로 개발 생산성을 극대화하자
1. CI/CD란 무엇인가?
CI/CD는 **지속적인 통합(Continuous Integration)**과 **지속적인 배포(Continuous Deployment 또는 Delivery)**를 의미합니다.
간단히 말해, 코드를 자주 병합하고 테스트하며, 자동으로 빌드하고 배포하는 일련의 과정을 체계화한 것입니다.
구성 요소 | 설명 |
CI (Continuous Integration) | 개발자들이 작성한 코드를 통합하고, 자동으로 테스트 및 빌드 |
CD (Continuous Delivery/Deployment) | 테스트가 통과된 코드를 자동으로 배포하거나, 준비 상태까지 자동화 |
이 시스템은 개발 속도는 높이고, 배포 리스크는 줄이며, 코드 품질은 향상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2. CI/CD 파이프라인의 구성 요소
CI/CD 파이프라인은 다음과 같은 주요 단계를 포함합니다:
- 코드 푸시 (Push)
- 빌드(Build)
- 테스트(Test)
- 패키징 및 아티팩트 생성(Artifact)
- 배포 준비(Deploy to Staging)
- 프로덕션 배포(Deploy to Production)
각 단계는 자동화 도구와 스크립트로 구성되며, GitHub Actions, GitLab CI, Jenkins, CircleCI 등 다양한 CI/CD 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단계별 구축 가이드
3.1 코드 저장소 구성
CI/CD 파이프라인은 Git 기반의 버전 관리를 전제로 합니다.
모든 소스는 GitHub, GitLab, Bitbucket 등과 같은 저장소에 저장되어야 하며, 브랜치 전략(예: Git Flow, trunk-based)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합니다.
Tip: 브랜치 푸시 시 자동으로 테스트/빌드가 실행되도록 webhook 또는 Git hook 설정이 필요합니다.
3.2 빌드 단계 자동화
소스 코드를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전환합니다.
예시: Node.js 프로젝트 빌드
steps:
- name: Install Dependencies
run: npm install
- name: Build Project
run: npm run build
Java, Go, Python, Docker 등 빌드 명령은 언어나 프레임워크에 따라 달라지며, 빌드 실패 시 바로 피드백을 받을 수 있게 해야 합니다.
3.3 테스트 자동화
유닛 테스트, 통합 테스트, 정적 코드 분석을 포함합니다.
CI 단계에서 테스트가 자동으로 실행되어야 하며, 테스트가 실패할 경우 배포가 중단되어야 합니다.
테스트 예시: Jest
- name: Run Tests
run: npm test
정적 분석 도구 추천
- ESLint / SonarQube (JavaScript, Java)
- Pylint (Python)
- Golint (Go)
3.4 아티팩트 관리
빌드된 결과물은 **아티팩트(Artifact)**로 관리됩니다.
예를 들어 .jar, .zip, .tar, .docker image 등입니다.
이 아티팩트를 **저장소(Artifact Registry)**에 업로드해야 합니다.
도구 예시
- Nexus
- JFrog Artifactory
- GitHub Packages
- DockerHub
3.5 스테이징 환경 배포
테스트에 통과한 빌드 아티팩트를 스테이징 서버에 자동으로 배포합니다.
배포 방식 예시
- SCP로 서버에 파일 전송
- Kubernetes에 이미지 배포
- AWS S3 + CloudFront를 통한 정적 웹 배포
Docker를 사용하는 경우
- name: Build Docker Image
run: docker build -t myapp:${{ github.sha }} .
- name: Push to DockerHub
run: docker push myapp:${{ github.sha }}
3.6 프로덕션 자동 배포
스테이징에서 QA 승인을 받은 뒤에는 프로덕션 환경에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배포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다음과 같은 전략을 사용합니다:
전략 | 설명 |
Blue-Green 배포 | 기존 서비스와 새로운 버전을 동시에 운영, 트래픽 전환 방식 |
Canary 배포 | 일부 사용자에게만 새로운 버전 노출 후 점진적 확산 |
Rolling Update | 점진적으로 버전 교체하며 운영 유지 |
4. GitHub Actions 예시 (Node.js 기준)
name: CI/CD Pipeline
on:
push:
branches:
- main
jobs:
build-deploy:
runs-on: ubuntu-latest
steps:
- uses: actions/checkout@v3
- name: Install dependencies
run: npm ci
- name: Run tests
run: npm test
- name: Build
run: npm run build
- name: Deploy to S3
run: aws s3 sync ./dist s3://my-bucket --delete
이 예시는 코드 푸시 → 테스트 → 빌드 → AWS S3 배포까지 자동으로 처리하는 CI/CD 흐름입니다.
5. 모니터링과 롤백 전략
CI/CD 구축 이후에도 성능 모니터링과 이상 감지를 위한 로그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추천 도구
- Prometheus + Grafana
- ELK Stack
- Datadog / New Relic
롤백 전략
- Git 태그로 특정 버전 배포
- Kubernetes의 rollback 명령
- S3 버전 관리
6. 요약
CI/CD 파이프라인은 개발부터 운영까지의 과정을 자동화하여, 신뢰성 있는 소프트웨어를 더 빠르고 자주 배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단계 | 핵심 요소 |
소스 관리 | Git + 브랜치 전략 |
빌드 | 언어별 빌드 스크립트 |
테스트 | 자동 테스트, 정적 분석 |
아티팩트 관리 | Docker/Nexus 등 |
스테이징 배포 | QA 환경에 자동 배포 |
프로덕션 배포 | 안전한 릴리즈 전략 적용 |
마무리
CI/CD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처음에는 구성과 자동화 스크립트 작성이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일단 한 번 구축해두면 개발자와 운영자의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작은 프로젝트부터 점진적으로 CI/CD를 적용해보며 자동화 문화를 조직에 정착시켜보시길 바랍니다.
'IT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스트 자동화 프레임워크(TestCafe, Cypress) 활용법 (0) | 2025.04.25 |
---|---|
GitOps와 Flux, ArgoCD 도구 비교 (0) | 2025.04.25 |
브라우저 렌더링 최적화 기법 (0) | 2025.04.25 |
WebAssembly를 이용한 고성능 웹 애플리케이션 (0) | 2025.04.25 |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선택 기준: Redux, MobX, Recoil (0)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