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선택 기준: Redux, MobX, Recoil
복잡한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에서 상태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1. 들어가며
React 기반의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상태 관리"는 애플리케이션의 복잡성이 증가할수록 필수적인 요소가 됩니다.
컴포넌트 내부의 useState, useReducer만으로는 전체 앱의 상태를 관리하기엔 한계가 있습니다. 이때 등장하는 것이 전역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입니다.
대표적으로 Redux, MobX, Recoil이 있으며, 이 글에서는 각 라이브러리의 구조, 철학, 사용 방식, 장단점을 비교하고, 프로젝트에 맞는 선택 기준을 제시하겠습니다.
2. 각 라이브러리의 개요
Redux
- 개발사: Redux는 Facebook이 만든 것은 아니지만 React 커뮤니티에서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 철학: 상태는 하나의 단일 저장소(Store)에 저장되고, 불변성을 유지하며 액션을 통해만 변경됩니다.
- 사용 방식: 액션 → 리듀서 → 새로운 상태 생성
- 도구: Redux Toolkit, Redux DevTools 등 풍부한 에코시스템
MobX
- 개발사: open-source 커뮤니티 기반
- 철학: 관찰 가능한 상태(Observable State) 와 자동화된 리렌더링.
- 사용 방식: 상태가 변경되면 관련 컴포넌트가 자동 갱신
- 특징: 선언적이면서도 매우 직관적, OOP 친화적
Recoil
- 개발사: Facebook
- 철학: React의 정신을 그대로 이어받은 Hooks 기반의 상태 모델
- 사용 방식: atom(단일 상태), selector(파생 상태) 기반 구조
- 특징: React와 깊게 통합됨, Suspense 및 concurrent rendering 지원
3. 상태 관리 방식의 차이
항목 | Redux | MobX | Recoil |
구조화 정도 | 매우 명확 | 유연함 | 중간 |
학습 난이도 | 높음 | 낮음 | 낮음 |
타입스크립트 호환 | 우수 (Redux Toolkit) | 제한적 | 우수 |
React 친화도 | 좋음 | 보통 | 매우 좋음 |
비동기 처리 | redux-thunk, redux-saga 등 별도 필요 | 자체 지원 | 내장 (Suspense 지원) |
디버깅/툴링 | 최고 수준 | 제한적 | 개발자 도구 미지원(2025년 현재) |
코드량 | 많음 (보일러플레이트 존재) | 적음 | 적당 |
4. 실제 코드 비교
Redux 예시
// counterSlice.js
import { createSlice } from '@reduxjs/toolkit';
const counterSlice = createSlice({
name: 'counter',
initialState: { value: 0 },
reducers: {
increment: state => { state.value += 1 },
decrement: state => { state.value -= 1 },
},
});
export const { increment, decrement } = counterSlice.actions;
export default counterSlice.reducer;
MobX 예시
import { makeAutoObservable } from "mobx";
class CounterStore {
value = 0;
constructor() {
makeAutoObservable(this);
}
increment() { this.value += 1 }
decrement() { this.value -= 1 }
}
export const counterStore = new CounterStore();
Recoil 예시
import { atom, useRecoilState } from "recoil";
const counterState = atom({
key: 'counterState',
default: 0,
});
function Counter() {
const [count, setCount] = useRecoilState(counterState);
return <button onClick={() => setCount(count + 1)}>{count}</button>;
}
5. 주요 선택 기준
① 프로젝트 규모
- 소규모, MVP 프로젝트: MobX, Recoil
- 중대형 이상 규모: Redux (특히 Redux Toolkit 사용 시)
② 상태 변경 로직의 복잡성
- 비동기 로직, 액션 추적 중요: Redux + redux-saga
- 간단하고 직관적인 데이터 흐름: MobX
- 파생 상태, 의존 관계가 많은 구조: Recoil
③ 팀 구성원 숙련도
- Redux는 철저한 구조화로 인해 팀 간 일관성이 뛰어나지만, 학습 난이도가 높음
- MobX와 Recoil은 입문자가 적응하기 쉬움
④ 디버깅과 툴링
- Redux는 DevTools 연동이 매우 우수
- MobX도 디버깅 도구가 있으나, 리렌더링 추적이 어렵고 비결정성 문제가 발생 가능
- Recoil은 아직 공식 DevTool이 없지만 커뮤니티 확장이 빠름
6. 성능 비교
항목 | Redux | MobX | Recoil |
렌더링 제어 | 수동 | 자동 반응형 | React 기반 |
메모리 효율 | 효율적 | 상태 많으면 과잉 렌더링 가능 | 적절함 |
최적화 용이성 | useSelector 등 명시적 | 자동이지만 추적 어려움 | atom 단위 최적화 |
Tip: MobX는 매우 빠르지만, 상태 추적이 복잡해질 경우 예측 불가능한 동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결론: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 Redux를 선택해야 할 때
- 대규모 애플리케이션
- 명확한 상태 흐름과 액션 추적이 필요한 경우
- 팀 단위 협업이 중요한 경우
- 타입스크립트 기반으로 철저한 타입 관리가 필요한 경우
- MobX를 선택해야 할 때
-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거나 MVP를 제작할 때
- 객체 지향 패턴을 선호할 때
- 상태 모델이 복잡하지 않고 직관적인 표현을 원할 때
- Recoil을 선택해야 할 때
- React 앱에서 자연스럽고 간결한 상태 관리를 원할 때
- Suspense 기반의 비동기 흐름이 필요한 경우
- React Hooks 친화적 방식이 익숙할 때
8. 마무리
상태 관리는 프론트엔드 아키텍처의 핵심입니다. 라이브러리 선택은 단순히 "좋은 것을 고른다"가 아닌 프로젝트의 특성, 팀 역량, 확장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Redux, MobX, Recoil은 각기 다른 철학과 장점을 가진 훌륭한 도구들입니다.
이제 중요한 것은 여러분의 프로젝트에 맞는 도구를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것입니다.
'IT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우저 렌더링 최적화 기법 (0) | 2025.04.25 |
---|---|
WebAssembly를 이용한 고성능 웹 애플리케이션 (0) | 2025.04.25 |
CSS-in-JS vs 전통적 CSS 설계 비교 (0) | 2025.04.25 |
PWA vs 네이티브 앱: UX 차이 분석 (0) | 2025.04.24 |
성능 지표(Lighthouse)의 이해와 개선 사례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