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7 9

카나리 배포 자동화와 메트릭 기반 롤백 조건 설정 방법

카나리 배포 자동화와 메트릭 기반 롤백 조건 설정 방법1. 카나리 배포(Canary Deployment)란 무엇인가?카나리 배포는 새로운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전체 사용자에게 일괄 적용하는 대신, 소수의 사용자에게만 점진적으로 배포하여 문제 여부를 검증하는 방식입니다.이 방법은 "광산 속 카나리 새"에서 유래했으며, 위험을 감지하기 위해 먼저 소수에 적용해보는 접근입니다.카나리 배포 특징문제 발생 시 빠른 롤백 가능전체 장애 위험 감소점진적 트래픽 전환 가능실사용자 기반 품질 검증따라서 대규모 시스템, 특히 지속적 배포(Continuous Deployment, CD)가 필요한 조직에서 필수 전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2. 카나리 배포 자동화 전략카나리 배포를 자동화하려면, 수작업 없이 트래픽 분산, 상태 모..

IT개발 2025.04.27

파이프라인 보안(DevSecOps): SAST·DAST·SCA 도구 통합 전략

파이프라인 보안(DevSecOps): SAST·DAST·SCA 도구 통합 전략1. DevSecOps란 무엇인가?DevSecOps는 개발(Development), 운영(Operations), 보안(Security)을 통합하는 접근법입니다.전통적인 개발 방식에서는 보안이 개발 후반에 별도로 추가되었지만, DevSecOps는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SDLC) 전체에 걸쳐 보안을 "초기부터" 통합합니다.즉, 코드 작성 단계부터 배포, 운영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보안 점검을 수행하는 문화와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DevSecOps의 핵심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개발 속도 유지하면서도보안 취약점을 조기에 탐지하여배포 이후 발생하는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입니다.이를 위해 파이프라인에 다양한 보안 검사 도구를 자동화..

IT개발 2025.04.27

GitOps 완전정복: Flux vs ArgoCD 실전 비교 및 설치·운영 사례

GitOps 완전정복: Flux vs ArgoCD 실전 비교 및 설치·운영 사례1. GitOps란 무엇인가?GitOps는 Kubernetes 환경에서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코드로 관리하는 방식입니다.Git 리포지토리를 "싱글 소스 오브 트루스(Single Source of Truth)"로 삼아, 클러스터 상태를 선언적으로 정의하고, Git의 변경사항을 트리거로 삼아 클러스터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합니다.GitOps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합니다.버전 관리: 모든 변경 이력 기록감사 추적(Audit): 누가 무엇을 수정했는지 명확히 파악 가능자동화: 수동 개입 없이 시스템이 스스로 상태를 동기화복구 용이성: Git 기록을 기반으로 빠른 복구 가능2. 대표적인 GitOps 도구: Flux와 ArgoC..

IT개발 2025.04.27

Kubernetes Operator 개발 가이드: Kubebuilder로 Custom Resource 정의하기

Kubernetes Operator 개발 가이드: Kubebuilder로 Custom Resource 정의하기1. Kubernetes Operator란 무엇인가?Kubernetes Operator는 쿠버네티스에서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의 생명주기 관리(배포, 업그레이드, 복구 등)를 자동화하는 패턴입니다. 기존 쿠버네티스는 Deployment, Service 같은 기본 리소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지만,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이나 상태(state)를 갖는 애플리케이션 관리에는 한계가 존재했습니다.Operator는 다음을 목표로 합니다.사용자 정의 리소스(Custom Resource, CR)를 통해 고유한 객체 모델 제공사용자 정의 컨트롤러(Custom Controller)를 통해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원..

IT개발 2025.04.27

도메인 주도 설계(DDD)에서 애그리거트 설계 팁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도메인 주도 설계(DDD)에서 애그리거트 설계 팁과 헥사고날 아키텍처**도메인 주도 설계(DDD)**는 복잡한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모델링에 비즈니스 도메인 전문가의 지식을 적극 반영하는 방법론입니다. 이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개념 중 하나가 **애그리거트(Aggregate)**입니다. 또한 DDD를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아키텍처 스타일로는 **헥사고날 아키텍처(Hexagonal Architecture)**가 널리 활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애그리거트 설계 시 유의해야 할 팁들과 헥사고날 아키텍처의 적용 방식을 상세히 다루어 보겠습니다.1. 도메인 주도 설계(DDD) 핵심 개념 정리1.1 DDD란 무엇인가?복잡한 소프트웨어를 만들 때 도메인 모델 중심으로 설계하는 방법론언어의 통일..

IT개발 2025.04.27

Event Sourcing + CQRS 구현 전략과 Kafka Streams 연동

Event Sourcing + CQRS 구현 전략과 Kafka Streams 연동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가 확산되면서 시스템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 일관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패턴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Event Sourcing과 **CQRS(Command Query Responsibility Segregation)**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아키텍처 패턴입니다. 여기에 Kafka Streams를 결합하면 더욱 견고하고 실시간성이 뛰어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Event Sourcing과 CQRS의 기본 개념을 정리하고, Kafka Streams를 활용하여 이들을 통합하는 전략을 심도 깊게 설명하겠습니다.1. Event Sourcing 기..

IT개발 2025.04.27

마이크로서비스 인증·인가 패턴: OAuth2, mTLS, JWT 비교 심층 분석

마이크로서비스 인증·인가 패턴: OAuth2, mTLS, JWT 비교 심층 분석현대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모놀리식(Monolithic) 시스템에서 점차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s Architecture)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이 전환은 확장성, 민첩성, 독립적 배포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서비스 간 통신의 보안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초래합니다. 각 서비스가 독립적으로 실행되고 서로 통신하는 구조에서는 인증(Authentication)과 인가(Authorization)를 체계적이고 안전하게 처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본 글에서는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증·인가 기술인 OAuth2, mTLS, JWT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각각의 특성과 적용 시 ..

IT개발 2025.04.27

서비스 메시(Service Mesh)의 내부 구조와 Envoy 커스텀 필터 개발

서비스 메시(Service Mesh)의 내부 구조와 Envoy 커스텀 필터 개발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가 보편화되면서, 서비스 간 통신을 안정적이고 일관성 있게 관리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졌습니다. 이때 등장한 핵심 기술이 바로 **서비스 메시(Service Mesh)**입니다. 서비스 메시는 복잡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고 관찰할 수 있게 해주는 인프라 계층으로, 개발자와 운영자가 비즈니스 로직을 변경하지 않고도 트래픽을 세밀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본 글에서는 서비스 메시의 내부 구조, 그리고 서비스 메시에 핵심 역할을 하는 Envoy 프록시와 커스텀 필터 개발 방법까지 심층적으로 다루겠습니다.1. 서비스 메시란 무엇인가?서비스 메시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간의 통신을 추상화하여, 인증..

IT개발 2025.04.27

분산 트레이싱 아키텍처 설계와 OpenTelemetry 심층 활용

분산 트레이싱 아키텍처 설계와 OpenTelemetry 심층 활용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가 대중화되면서, 시스템이 여러 개의 독립된 서비스로 나뉘어 운영되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사용자 요청이 여러 서비스와 서버를 거치면서 복잡하게 처리되는 구조가 되었습니다. 이때 시스템 내부에서 어떤 서비스가 느려졌는지, 어떤 호출이 병목을 일으키는지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산 트레이싱(Distributed Tracing) 기술이 등장했습니다.그 중에서도 최근 가장 주목받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바로 OpenTelemetry입니다. 본 글에서는 분산 트레이싱 아키텍처를 어떻게 설계하는지, 그리고 OpenTelemetry를 어떻게 실무에 적용하고 고급 활용할 수 있는지..

IT개발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