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개발

웹 성능 최적화: TTFB, LCP, FID 등 웹 코어 바이탈(Core Web Vitals) 개선법

우리모두 개발자되기 2025. 3. 16. 00:42

1. 웹 성능 최적화란?

웹 성능 최적화(Web Performance Optimization, WPO)는 웹사이트의 로딩 속도를 개선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기술과 전략을 의미합니다. 웹페이지의 빠른 로딩 속도는 SEO(검색 엔진 최적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용자 이탈률 감소 및 전환율 증가에도 기여합니다.

Google은 웹사이트의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로 웹 코어 바이탈(Core Web Vitals) 지표를 발표하였으며, 검색 순위에도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웹 코어 바이탈의 주요 지표인 TTFB, LCP, FID를 중심으로 웹 성능 최적화 방법을 상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웹 성능 최적화: TTFB, LCP, FID 등 웹 코어 바이탈(Core Web Vitals) 개선법
웹 성능 최적화: TTFB, LCP, FID 등 웹 코어 바이탈(Core Web Vitals) 개선법


2. 웹 코어 바이탈(Core Web Vitals)이란?

웹 코어 바이탈(Core Web Vitals)은 Google이 웹사이트의 사용자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도입한 3가지 주요 지표를 의미합니다.

2.1 TTFB (Time to First Byte)

**TTFB(첫 바이트 수신 시간)**은 사용자가 웹페이지에 접속한 후 처음 바이트를 받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서버 응답 속도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TTFB가 길면 사용자 경험이 저하됩니다.

2.2 LCP (Largest Contentful Paint)

**LCP(가장 큰 콘텐츠 표시 시간)**은 웹페이지에서 가장 큰 이미지 또는 텍스트 블록이 화면에 렌더링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LCP 시간이 길면 페이지가 느리게 로드된다고 인식될 수 있습니다.

2.3 FID (First Input Delay)

**FID(첫 입력 지연 시간)**은 사용자가 첫 상호작용(버튼 클릭, 링크 클릭 등)을 시도했을 때 브라우저가 반응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FID 값이 크면 인터랙티브한 요소가 지연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3. 웹 성능 최적화 방법

3.1 TTFB(첫 바이트 수신 시간) 최적화

TTFB를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고성능 웹 호스팅 사용: 성능이 뛰어난 서버를 사용하여 응답 시간을 단축해야 합니다.
  • CDN(Content Delivery Network) 활용: 사용자와 가까운 서버에서 데이터를 제공하여 네트워크 지연을 줄입니다.
  • 서버 응답 시간 최적화: MySQL 쿼리 최적화, 캐싱 등을 통해 서버 속도를 개선합니다.
  • Keep-Alive 활성화: 지속적인 연결을 유지하여 요청 간 응답 속도를 높입니다.

3.2 LCP(가장 큰 콘텐츠 표시 시간) 최적화

LCP 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이미지 최적화: 웹페이지에서 가장 큰 요소는 일반적으로 이미지이므로, WebP 포맷을 사용하고 크기를 줄여야 합니다.
  • 렌더링 차단 리소스 제거: 불필요한 CSS 및 JavaScript를 줄여서 렌더링 속도를 높입니다.
  • 서버 응답 속도 개선: 빠른 서버 응답이 LCP 단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Lazy Loading 적용: 화면에 보이지 않는 요소는 지연 로딩하여 초기 로딩 속도를 개선합니다.

3.3 FID(첫 입력 지연 시간) 최적화

FID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브라우저의 메인 스레드 작업을 최적화해야 합니다.

  • 불필요한 JavaScript 코드 제거: 실행 시간을 줄이기 위해 불필요한 JavaScript를 줄입니다.
  • 웹 워커(Web Worker) 활용: 백그라운드에서 JavaScript를 실행하여 UI 응답성을 향상시킵니다.
  • 브라우저 캐싱 사용: 캐싱을 활용하여 페이지 로딩 속도를 높이고 자원을 재활용합니다.
  • 코드 분할(Code Splitting) 적용: JavaScript 파일을 분할하여 필요한 시점에만 로드되도록 합니다.

4. 추가적인 웹 성능 최적화 기법

4.1 Gzip 및 Brotli 압축 사용

HTML, CSS, JavaScript 파일을 압축하여 전송 크기를 줄이고 페이지 로딩 속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4.2 HTTP/2 및 HTTP/3 활용

HTTP/2와 HTTP/3을 사용하면 멀티플렉싱과 서버 푸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어 성능이 향상됩니다.

4.3 크리티컬 렌더링 패스 최적화

브라우저가 페이지를 빠르게 렌더링할 수 있도록 주요 CSS와 JavaScript 파일을 최적화해야 합니다.

4.4 웹폰트 최적화

웹사이트에 사용되는 폰트는 로딩 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필요하지 않은 글꼴을 제거하거나 font-display: swap을 적용하여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4.5 캐싱 전략 적용

브라우저 캐싱, CDN 캐싱, 서버 캐싱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반복 방문할 때 로딩 속도를 단축할 수 있습니다.


5. 결론

웹 성능 최적화는 단순히 로딩 속도를 높이는 것을 넘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검색 엔진 순위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Google이 검색 순위에 반영하는 웹 코어 바이탈(Core Web Vitals) 지표인 TTFB, LCP, FID를 최적화하면 SEO 성과도 개선될 수 있습니다.

최적화를 위해서는 서버 성능 개선, 이미지 압축, JavaScript 코드 최적화, CDN 활용 등 다양한 기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지속적인 성능 모니터링과 개선을 통해 더욱 빠르고 쾌적한 웹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태그

#웹성능 #CoreWebVitals #SEO #TTFB #LCP #FID #웹최적화 #프론트엔드 #웹개발